bot 4

인기 게임으로 위장한 Electron Bot 악성코드

최근 보안 업체 CheckPoint는 Microsoft Store에서 Electron Bot이라는 악성코드가 인기 게임으로 위장해 유포되고 있다고 알렸다. 해당 보안 업체는 Electron Bot이 SEO 포이즈닝을 통해 트래픽을 특정 콘텐츠로 유도하고, 소셜 미디어 홍보 및 광고 클릭 수 조작을 수행한다고 알렸다. 보안 전문가는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리뷰가 적은 애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하지 않으며,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리뷰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것을 권고했다. 사진 출처 : Check Point Research 출처 [1] Check Point Research (2022.02.24) - New Malware Capable of Controlling Social Media Accounts..

원격제어 악성 앱, ExpndBot

최근, "Video Player.apk"라는 이름으로 악성 원격제어 앱이 발견되었다. 해당 앱은 원격지와 연결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단말기의 정보 및 등을 탈취한다. 그리고 추가적인 원격제어 동작 여부를 설정하고 원격지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통해 특정 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전화를 할 수도 있다. 해당 앱은 스토어에서 판매되지는 않지만, 웹 페이지 등 그 외의 경로로 배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ExpndBot 은 하단 좌측 이미지와 같이 영상 재생 앱을 위장하고 있으며, 실행하면 앱 활성화를 유도한다. 앱이 처음 실행될 때, 해당 앱이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악성동작하는 것을 사용자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모든 소리를 음소거하고 화면을 잠근다. 원격지와 연결되면 아래의 명령을 수행한다. 만약 원격지와 ..

Telegram을 C&C 서버로 사용하는 ToxicEye 악성코드

Telegram에서 제공하는 Bot 기능을 악용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를 탈취하고 감염된 PC를 조작하는 ToxicEye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Telegram은 인터넷 메신져 프로그램으로 알림, 정보 열람 등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해야할 일들을 대체해줄 수 있는 Bot 기능을 제공한다. 공격자는 Telegram Bot 계정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ToxicEye 악성코드에 감염된 환경에 명령을 내려 다양한 악성행위를 수행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ToxicEye 악성코드는 해커 포럼과 GitHub에 소스코드가 공개되었으며, 최근 이메일을 통해 유포된 사례가 발견되었다. ToxicEye 악성코드 실행 시, C:\Users\ToxicEye\rat 경로에 자가복제한 뒤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복사한 파일이 ..

[이슈]전화오면 일어나는 좀비폰, 한국 이용자 겨냥 시도?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최근 해외에서 Bot 기능이 있는 것으로 화제가 되었던 악성파일을 분석하여 관련된 내용을 일부 공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안드로이드 악성 파일은 아직까지 국내에 정식 감염된 피해 사례는 보고된 바 없는 상태이다. 이번 악성파일은 공격자의 지능화된 무선 명령 및 지시에 따라 다양한 정보 유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이른바 좀비폰 역할이 가능한 종류로 한단계 진화된 형태로 볼 수 있다. 특히, 해당 악성파일은 "한국의 이동통신사망(APN)을 체크 시도"하는 기능이 있어 국내 사용자로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자 하는 또 다른 시도가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정되고 있어,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관련 정보 수집을 계속 진행 중이다. - 한국 이동통신사의 APN 이용, 국내를 겨냥용 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