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서비스의 채팅창을 통해 악성파일에 대한 유포 시도가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악성파일 유포 방법으로는 채팅창에 특정 파일의 다운로드가 가능한 URL을 뿌리는 등 사회공학적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해당 URL은 단축 변환 주소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쉽게 현혹되어 클릭을 통한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현재 해당 악성파일은 아래의 그림과 같은 페이스북의 체팅창을 통해 주로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포되는 악성파일에 감염될 경우 해당 PC에서 특정 SNS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친구로 등록된 지인들에게 무작위로 악성 URL을 채팅형태로 배포하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