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240

2022년 1분기 국가별 해커그룹 동향 보고서

1분기 국가별 해커그룹 동향 보고서 러시아 러시아의 해커그룹들은 20년 이상 활동한 것으로 전해지며, 여러 정부기관의 지원을 받아 활동한다. 최근 발생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사이버 전쟁으로 확대되어, 이번 1분기에는 우크라이나를 표적으로 한 다양한 공격이 발견되었다. 작년 4분기에도 활발하게 활동한 Gamaredon 해커그룹의 공격이 현재까지 이어져, 우크라이나 정부기관의 웹사이트 등을 공격하였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를 포함한 여러 국가 및 기업에서 노력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Gamaredon 러시아 정부를 배후로 두고 있는 Gamaredon 그룹은 ‘Primitive Bear’ 또는 ‘Actinium’ 이라고도 불리는 해커 그룹으로, 2013년부터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다. 해당 ..

동향 리포트 2022.04.20

2022년 1분기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피해 사례 2022년 1분기(1월 1일 ~ 3월 31일) 동안 랜섬웨어 동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외에서 “콘티(Conti)”, “랩서스(Lapsus$)” 및 “블랙바이트(BlackByte)” 등의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견되었다. 1월에는 대만의 전자 제품 공급 업체 Delta Electronics가 “콘티(Conti)”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고, 2월과 3월에는 미국 미식 축구팀 49ers와 미국 IT 업체 Okta가 각각 “블랙바이트(BlackByte)”와 “랩서스(Lapsus$)”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피해가 발생했다. 콘티(Conti) 랜섬웨어 피해 사례 콘티(Conti) 랜섬웨어는 위자드 스파이더(Wizard Spider)라고 불리는 러시아 사이버 범죄 조직에 의해 운영되는..

동향 리포트 2022.04.20

2022년 03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2년 3월(3월 1일 ~ 3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 유형이며 총 2,329 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3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2월과 비교하였을 때 Suspicious, Trojan, Worm 및 Ransom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3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2월에 비해 증가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2. 악성코드 동향 2022년 3월(3월 1일 ~ 3월 31일) 한 ..

동향 리포트 2022.04.20

2022년 03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9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2년 3월(3월 1일 ~ 3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72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Conti” 랜섬웨어가 68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2년 3월(3월 1일 ~ 3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3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독일, 이탈리아 및 영국이 각각 7%, 캐나다가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2년 3월(3월 1일 ~ 3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

동향 리포트 2022.04.20

2022년 02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2년 2월(2월 1일 ~ 2월 28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 유형이며 총 2,781 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2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1월과 비교하였을 때 Suspicious, Virus, Trojan, Worm 및 Ransom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2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1월에 비해 증가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2. 악성코드 동향 2022년 2월(2월 1일 ~ 2월 ..

동향 리포트 2022.03.04

2022년 02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9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2년 2월(2월 1일 ~ 2월 28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52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Conti” 랜섬웨어가 31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2년 2월(2월 1일 ~ 2월 28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3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영국이 9%, 이탈리아와 독일이 각각 7%로 그 뒤를 따랐다. 2022년 2월(2월 1일 ~ 2월 28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공급 분야..

동향 리포트 2022.03.04

2022 사이버 보안 전망

2021년은 2년째 이어진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재택근무, 원격근무 등 비대면 디지털 전환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부작용도 다수 발생한 해였다. 급격한 비즈니스 환경 변화로 미처 대비하지 못한 내부 시스템들이 외부로 노출되며 다양한 공격 루트를 제공하였으며, MS Exchange, Log4J 등 제로데이 취약점 노출, 고도화된 랜섬웨어 등장, 공급망 공격 등으로 인해 역대급 사이버 공격 피해액이 발생하였다. 국내에서도 기상청, 한국 원자력 연구원, 대우조선해양, 아파트 월패드 등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을 가리지 않고 사이버 공격이 이루어졌고 2022년에도 지속적인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잉카인터넷 시큐리티 대응센터(ISARC) 대응팀은 2021년 국내·외에서 발생한 각종 ..

동향 리포트 2022.02.22

2022년 01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20 2022년 1월(1월 1일 ~ 1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2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이며 총 20,710 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1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12월과 비교하였을 때 Worm, Ransom의 진단 수가 증가하고, Trojan, Exploit 및 Backdoor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1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12월에 비해 감소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2. 악성코드 동향 2022년 1월..

동향 리포트 2022.02.08

2022년 01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9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2년 1월(1월 1일 ~ 1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Snatch" 랜섬웨어가 24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LockBit" 랜섬웨어가 21건으로 두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2022년 1월(1월 1일 ~ 1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영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9%, 프랑스가 6%로 그 뒤를 따랐다. 2022년 1월(1월 1일 ~ 1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공급 ..

동향 리포트 2022.02.08

2021년 하반기 랜섬웨어 동향

1. 랜섬웨어 통계 2021년 하반기(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랜섬웨어 신•변종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하반기에 발견된 신•변종 랜섬웨어의 건수는 [그림 1]과 같다. 하반기에는 월 평균 34건의 랜섬웨어가 발견됐으며 이 중, 신종과 변종 랜섬웨어는 각각 7월과 8월에 가장 많이 발견됐다. 2021년 하반기(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월별로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주로 비트코인(BTC) 요구가 많았고, 모네로(XMR)나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는 매월 낮은 비율을 차지했다. 2021년 하반기(7월 1일 ~ 12월 31일) 동안 랜섬웨어가 요구한 랜섬머니를 조사했을 때 비트코인(BTC) 요구가 22%로 가장 많았고, 랜섬머니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

동향 리포트 2022.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