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384

[주의]VISA 신용카드 사기성 내용으로 위장된 악성파일 등장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비자(VISA) 신용카드와 관련된 내용으로 고객들을 현혹"시켜 악성파일에 감염되도록 유도하는 악의적 이메일이 해외에서 유포된 정황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이메일은 국제적으로 발송되는 것이 보편적이라는 점에서 국내 이용자들도 조심하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이메일 속임수 사기수법으로는 국제배송업체 운송장 내용이나 SNS 암호 변경 요청, 비행기 티켓 예매, 사진파일 첨부 등으로 위장한 사례가 많은 편이다. 금번 발견된 경우는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와 관련된 민감한 부분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위협에 노출되어 예기치 못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요망된다. 또한, 이러한 악성 이메일은 불특정 다수에게 SPAM 메일처럼 다량으로 발송되는 경..

[긴급]국내 유명 포털을 표적으로 한 APT 공격 발견 (#Update 02)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최근 국내 유명 포털사이트의 직원에게 구직(Job Application)내용으로 위장하고, 이력서(Resume) 파일처럼 보이도록 만든 표적 공격형 이메일을 발견하였다. 해당 이메일은 "My resume.doc" 라는 이름의 MS Word 파일이 첨부되어 있고, CVE-2012-0158 보안취약점을 이용해서 사용자 몰래 또 다른 악성파일을 은밀히 설치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 방식은 전형적인 지능형지속위협(APT)의 1차 단계에 속하는 공격수법이며, 수신자가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경우 임의의 공격자는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 정보 수집을 통해서 2차적인 기업 내부 기밀 정보 접근 및 수집을 시도하게 된다. 보통 이러한 방식의 공격수법은 매우 단순하지만 일반인의 경우 자신이 악의..

[주의]온라인 게임사이트로 사칭한 용의주도한 악성파일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마치 국내 유명 온라인 게임의 악의적 변칙 플레이 등에 이용되는 이른바 게임 핵툴(Game HackTool) 도구나 게임 동영상과 관련된 것처럼 조작하여 불특정 다수의 게임 이용자들을 현혹시킨 후 최신 악성파일에 감염되도록 유도하는 보안위협이 국내에서 다수 발생하고 있는 이상징후를 포착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보안위협이 최근 국내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을 표적으로 은밀히 진행되고 있어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요망된다. 악성파일에 감염될 경우에는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하여 원격제어 및 온라인 게임 계정 유출 등의 피해를 입을 수도 있고, 일명 좀비 피시(Zombie PC)가 되어 또 다른 컴퓨터에 피해를 가할 수 있는 DDoS 공격용 컴퓨터로 전락할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반드시 유념..

[정보]스마트폰 기기 정보 확인 도구로 위장한 악성 애플리케이션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에서는 최근 중국의 비공식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스마트폰 기기 정보에 대한 수집 및 외부 유출을 시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발견하였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감염된 스마트폰이 루팅되어 있을 경우 루트 권한 획득을 통해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수집된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는 등 악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플리케이션이 루트 권한을 획득할 경우 상황에 따라 외부와 지속적인 통신을 시도하여 사용자 몰래 수많은 악성 동작을 취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루팅하여 사용중인 사용자의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유포 경로 및 감염 증상 해당 악성파일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중국에서 서비스 되고 ..

[긴급]북핵 해결 전략 내용으로 위장된 HWP 0-Day 공격 발견

1. 개요 2012년 06월 20일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북핵해결 3대 전략", "삼위일체의 북핵전략" 등의 내용을 가지고 있는 한컴 HWP 문서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샘플을 확보하였다. 해당 악성파일이 사용한 보안취약점은 현 시점까지 아직 보안 업데이트가 공식 배포되고 있지 않은 Zero-Day 취약점이기 때문에 최신 버전의 한컴오피스 사용자들도 직접적인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와 유사한 문서를 열람한 경우 신속하게 탐지가 가능한 최신 nProtect Anti-Virus 제품을 이용해서 전체 검사를 수행하고, 감염된 별도의 악성파일들을 검색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최근 연속해서 HWP 한글 문서 취약점을 이용하고, "통일" 또는 "북핵" 등 국가안보와 관련된..

[긴급]국내 인터넷 뱅킹 표적용 악성파일 변종 지속 출현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인터넷 뱅킹 이용자들의 예금 불법 인출용 악성파일 변종이 국내 특정 토렌트 자료실 영화파일처럼 위장되어 유포 중인 6개의 게시글을 발견하였다. 해당 게시글은 2012년 06월 18일 새벽 05시 20분 경부터 업로드되기 시작했으며, 기존에 발견되었던 형태와 동일하게 윈도우 폴더에 CretClient.exe, HDSetup.exe 파일 등을 생성하고, CONFIG.INI 설정파일을 이용하여 원격지 서버 IP 로드와 호스트 내용 등을 변경하게 된다. 그 이후에 국내 특정 인터넷 뱅킹 사이트로 접속시 조작된 가짜 웹 사이트를 보여주고, 개인금융 관련 고유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개인정보 탈취 및 예금 불법 인출 목적 등으로 시도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주의]AIDS 치료제 트루바다 내용으로 위장된 악성파일 이메일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세계보건기구(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발송한 것처럼 사칭한 악성 이메일을 발견하였다. 해당 이메일은 임신기간 중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의 예방 효과를 가진 트루바다(Truvada) 알약에 대한 PDF 문서처럼 아이콘 등을 위장하고 있는 악성파일이다. HIV 란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인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최근 사상 처음으로 에이즈 예방약으로 트루바다가 공식 인증을 눈앞에 둔 상태로 알려져 있고,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는 AIDS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트루바다를 예방약으로 승..

[정보]유럽의 주류 판매 업체로 위장한 악성 이메일

1. 개 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유럽의 주류 판매 업체에서 발송한것처럼 위장한 악성 이메일을 발견하였다. 해당 악성 이메일은 발송자 주소란에 실제 해당 업체 Denmark branch의 책임자 이메일 주소가 기입되어 있으며, 링크파일 실행을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감염이 이루어지면 특정 외산 백신에 대한 강제 종료 및 MSN 등의 특정 인스턴스 메신저 메인 화면을 출력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경우 쉽게 현혹되어 악성파일 감염 여부를 인지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물론 해당 악성파일은 스페인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내 유입 및 감염 피해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악성 이메일을 통한 악성파일 유포가 빈번한 만큼 일반 사용자들은 이점을 참고하여 이와 같은 유형의 악성 ..

[긴급]HWP 문서 0-Day 취약점 이용한 APT 공격발생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통일정책 토론회 문서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는 "HWP 악성파일이 국내에 전파"된 것을 발견하였다. 현재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해당 파일의 유포지 등 부수적인 자료를 추적 중에 있으며, 악성파일에 대한 긴급 업데이트도 함께 완료한 상태이다. 더불어 최신 업데이트가 이뤄진 한컴오피스 사용자일지라도 아직 알려지지 않은 HWP Zero-Day Exploit 을 사용하고 있어 매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설치된 악성파일은 사용자 컴퓨터의 "실행중인 프로그램 리스트와 시스템 주요정보 등을 저장하여 외부로 유출"을 시도하기 때문에 해당 악성파일에 감염된 경우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2. 악성파일 정보 탈북인 인적사항으로 유혹하는 HWP 악성파일 등장 ☞ htt..

[긴급]국내 인터넷뱅킹 사용자를 노린 악성파일 급속 유포 (#Update 04)

1. 개요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유명 인터넷 라이브 방송 사이트의 동영상 플레이어 설치파일 등의 변조를 통하여 국내 인터넷 뱅킹용 악성파일이 유포 중인 것을 발견하였다. 정상적인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모듈을 위변조하여 사용자 몰래 악성파일을 설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감염 여부 인지자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인터넷 뱅킹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예금인출 사고로 연결될 위험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터넷 방송 사이트와 인터넷 뱅킹 사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해당 악성파일의 변종을 다수 입수 하였으며, 금융권 보안관계자 등 유관기관에 해당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한 상태이다. - 당신의 인터넷 뱅킹 예금은 안녕하십니까? - 국내 유수의 인터넷 뱅킹 사용자를 노린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