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서 4

[추적]FTP서버로 공인인증서를 탈취하는 악성파일 실체

1. 공인인증서 유출로 인한 피해 주의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3년 02월 01일 해외의 특정 FTP 서버로 국내 이용자들의 공인인증서(NPKI)파일이 다량으로 유출된 정황을 포착하였다. 해당 악성파일(KRBanker)은 국내 IP주소로 할당되어 있는 곳에서 유포되었는데, 도메인은 2013년 1월 21일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명의로 생성된 곳이다. 또한, 악성파일은 2013년 01월 25일 잉카인터넷 대응팀을 통해서 공개된 바 있는KRBanker 변종형태로 실제 공인인증서 창의 클래스명(QWidget)을 감시하고 있다가 공인인증서가 활성화되면 조작된 가짜 입력화면을 교묘히 겹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탈취하게 된다. 기존의 정상적인 전자서명 화면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전..

[주의]실제 공인인증서 서비스에서 암호 탈취를 시도하는 악성파일

1. 공인인증서 암호를 직접 겨냥한 KRBanker 변종 등장국내 인터넷 뱅킹용 이용자들을 노린 악성파일(KRBanker) 변종이 거의 매일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기존과 다른 형태의 악성파일 유형이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다양한 형태 중 대다수는 호스트파일(hosts)의 내용을 변경하여 정상적인 금융사이트 주소로 접속을 하더라도 피싱사이트로 연결되도록 조작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외에 호스트파일(hosts)을 변경하지 않고 악성파일이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 사이트를 모니터링하다가 특정 금융사이트 주소에 접근시 피싱사이트로 웹 페이지를 교묘하게 바꿔치기 하는 수법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은 모두 공통적으로 가짜로 만들어진 공인인증서 전자서명 로그인 화면을 보여주어 사용자가 ..

[주의]금융 보안프로그램으로 둔갑한 악성파일 출현

1. 보안관련 인증절차와 금융 보안프로그램으로 사칭한 KRBanker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인터넷 뱅킹 이용자들의 예금탈취를 노린 악성파일(KRBanker) 변종이 새로운 형태의 내용으로 전자금융 서비스 이용자들을 현혹시키고 있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악성파일은 국내 특정 웹 사이트를 해킹하여 보안이 취약한 접속자로 하여금 웹 사이트 접속만으로 악성파일(KRBanker)에 은밀히 감염되도록 만들어 두었다. 악성파일에 노출되어 감염이 이뤄지면, 사용자 컴퓨터에 존재하는 호스트파일(hosts)을 변조하여 시티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외환은행, 농협, 신한은행, 수협, 스탠다드차타드, 우리은행 등의 도메인 접속 주소를 특정 피싱 IP주소로 몰래 변경시킨다. 이로인해 사용자가 정상적인 금융사 홈페..

[긴급]KRBanker 전자금융사기용 허위 예방 서비스로 사용자 유혹

1. 전자금융사기용 KRBanker 2번 사기를 친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인터넷 뱅킹용 악성파일(KRBanker) 변종이 새로운 형태로 진화되고 있는 이상징후를 포착하였다. 2012년 6월 초 부터 변종별로 시리즈가 꾸준히 발견되고 있는 국내 전자금융사기용 악성파일(KRBanker)은 초기 호스트파일(hosts)을 이용하는 방식이 유행한 바 있고, 다음으로 호스트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방식이 발견된 바 있다. 최근에는 피싱사이트 차단 시간이 짧아지고, 악성파일의 생존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C&C 서버를 통한 신규 피싱사이트로 자동업데이트 하는 방법 등의 새로운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2012년 10월 18일에 발견된 형태는 인터넷 뱅킹을 접속하지 않아도 가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