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백신 32

[랜섬웨어 분석] Sarbloh 랜섬웨어

Sarbloh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최근 “2020년 인도 농업법”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으며 법안에 대해 반대하는 세력이 “Sarbloh” 랜섬웨어를 유포하기 시작했다. [그림 1]의 최 하단부에 기재된 힌디어인 “Khalsa Cyber Fauj” 를 해석하면 “칼사의 사이버 부대” 라는 뜻으로, 칼사(Khalsa)란 시크교도들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번 법안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무리이다. 또한, 랜섬웨어의 이름인 “Sarbloh”는 칼사가 과거에 사용했던 검을 만들 때 사용하는 금속으로 시크교도들의 투쟁 의지를 나타낸다. “Sarbloh” 랜섬웨어는 피싱 메일에 악성 문서 파일을 첨부해 유포되고 있으며, 해당 문서 파일의 내부 매크로에 의해 페이로드를 다운로드하고, 실행시킨다. 실행된 “Sarblo..

[랜섬웨어 분석] HelloKitty 랜섬웨어

"HelloKitty" 랜섬웨어는 자사 블로그에 Hyper-V 사용자를 공격하는 신종 랜섬웨어 이슈와 CD PROJEKT RED 피해 이슈로 인해 분석돼 게시된 바 있다. 최근 해당 랜섬웨어의 추가 조사 결과, 기존에 게시된 이슈 외의 피해사례와 관련 샘플을 획득했고 랜섬노트 상단에 공격 대상으로 지정한 기업을 명시한다는 특징을 발견했다. 랜섬노트 지난 2월, 비디오 게임 업체인 CD PROJEKT RED가 “HelloKitty”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 피해 기업은 사이버 공격을 당한 직후, 공식 트위터를 통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리고, 감염된 PC에서 발견된 랜섬노트를 공개했다. 이들이 공개한 랜섬노트는 피해 기업명인 CD PROJEKT로 시작하며 Cyberpunk ..

[랜섬웨어 분석] HelloKitty 랜섬웨어

지난 11월 처음 발견된 “HelloKitty” 랜섬웨어에 의한 피해 사례가 꾸준히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디오 게임 개발 업체인 CD PROJEKT RED를 공격한 정황이 포착됐다. 이번 공격으로 인해 피해 기업은 일부 시스템이 암호화되어 업무에 지장을 받았고, 감염된 시스템에 남겨진 랜섬노트에 따르면 “HelloKitty” 랜섬웨어 운영진들이 해당 기업에서 정보를 탈취했다고 알려졌다. 해당 사건이 발생한 후, 피해 업체는 공식 트위터에 사이버 공격을 당했고 이로 인한 몸값 지불 및 협상을 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게시했다. “HelloKitty”에 감염되면 폴더마다 “read_me_lkd.txt”란 이름의 랜섬노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감염사실을 알린다. 하지만, 이번 CD PROJEKT RED 공..

[랜섬웨어 분석] BleachGap 랜섬웨어

최근 “BleachGap”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BleachGap’ 랜섬웨어는 %USERPROFILE% 경로를 대상으로 암호화 하고, 볼륨 섀도우 복사본 삭제를 통해 PC 복구가 불가능하도록 하며 마우스 버튼 좌우 반전 및 자주 사용하는 키보드 버튼을 비활성화 하여 사용자를 당혹스럽게 한다. 또한, 랜섬머니 지불 기간을 5일로 제한해 기한이 지나면 부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BleachGap” 랜섬웨어를 실행하면 전반적인 랜섬웨어 동작을 담당하는 배치 파일을 드랍한다. 해당 배치 파일은 ‘%USERPROFILE%’ 폴더 및 하위 폴더의 모든 파일을 암호화하며 암호화된 파일의 확장자를 “.lck” 로 변경하고, 감염된 사용자가 시스템을 복원할 수 없도록 볼륨 섀도우 복사본을 삭제한다. 또한, 레지스트..

[랜섬웨어 분석] Xorist 랜섬웨어

지난 2016년도부터 꾸준히 모습을 나타낸 Xorist 랜섬웨어가 또 다른 변종으로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랜섬웨어와 달리 메시지 창을 띄워 감염사실을 알리는 특이한 모습으로, 특정 확장자에 대하여 파일 감염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감염된 파일을 실행할 때 오류 메시지 창을 띄워 랜섬노트의 내용과 함께 금전적인 요구를 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Xorist 랜섬웨어의 악성동작이 수행되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오류 메시지 창을 띄운다. 위의 메시지 창과 함께 모든 디렉토리 아래에 동일한 내용의 랜섬노트도 생성한다. 해당 랜섬웨어는 사용중인 모든 드라이브를 대상으로 다음의 확장자를 대상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한다. 감염 동작이 수행되면 파일 유형은 “CRYPTED!”로 변경되며, 파..

[랜섬웨어 분석] Namaste 랜섬웨어

최근 “Namaste”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해당 랜섬웨어는 원활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특정 프로세스 이외에 현재 시스템 권한으로 실행되고 있지 않은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파일을 암호화한다. 그리고 랜섬노트를 통해 10 유로를 지불하라고 협박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Namaste” 랜섬웨어 실행 시, 작업표시줄을 비활성화하고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검색하여 [표 1] 목록 이외에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그리고 “WinDecrypt” 라는 이름으로 스케줄러에 등록하여, 시스템 시작 시 “Namaste” 랜섬웨어가 실행되도록 설정한다. 다음 [표 2] 암호화 대상 조건에 부합하는 파일을 암호화하고, “_enc” 확장자를 암호화한 파일에 덧붙인다. 파일을..

[랜섬웨어 분석] Vovalex 랜섬웨어

“Vovalex” 랜섬웨어는 지난 1월에 발견된 랜섬웨어로 CCleaner Pro, uTorrent Ad-Free 등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해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유료 버전인 CCleaner Pro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고, 불법으로 인증 키를 생성하는 키젠(Keygen) 프로그램을 함께 유포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Vovalex”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uTorrent” 프로그램 설치와 동시에 ‘.sys’, ‘.ini’, ‘.lnk’ 확장자와 운영체제 구동을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폴더 및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에 대해 암호화가 진행된다.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vovalex” 이름의 확장자를 덧붙이며 바탕화면에 “README.VOVALEX.TXT” 랜섬노트를 ..

[랜섬웨어 분석] MrDec 랜섬웨어

“MrDec” 또는 “_RSA” 라고 알려진 랜섬웨어는 모든 이벤트 뷰어 로그를 삭제하고 파일 암호화 후에는 자기자신을 삭제한다. 지난 2018년에 발견되어 현재까지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아래 [표 1]의 암호화 제외 목록에 따라 기본적인 시스템 파일을 제외한 모든 대상 파일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한다.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임의의ID_RSA” 형태의 확장자를 덧붙이며 암호화 대상 경로마다 “Data recovery.hta” 랜섬노트를 생성하고 실행한다. 파일 암호화 이외에도 명령 프롬프트에서 모든 이벤트 뷰어 로그 지우기 위해 ‘Windows’ 폴더에 ”delog.cmd" 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한다. 마지막으로 해당 랜섬웨어는 사용자가 복구하기 어렵도록 볼륨 섀도우 복사본을 ..

[랜섬웨어 분석] Egregor 랜섬웨어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Egregor” 랜섬웨어는 지난 2020년 9월경에 발견되어 12월 초, 네덜란드 컨설팅 회사인 Randstad을 대상으로 공격했던 사례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Qakbot, IcedID와 같은 악성코드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감염된 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 유출을 위해 클라우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인 Rclone을 이용한다고 알려진다. 또한 특정 명령줄 인수를 통해 파일 암호화가 진행되며 특정 프로세스와 서비스를 종료한다. “Egregor” 랜섬웨어는 아래 [표 1]의 암호화 제외 목록에 따라 기본적인 시스템 파일을 제외한 대상 파일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한다. 파일 암호화가 완료되면 “랜덤명4~6자리” 형태의 확장자를 덧붙이며 암호화 대상 경..

[랜섬웨어 분석] Solaso 랜섬웨어

랜섬웨어 분석 보고서 올해 초 Solaso 랜섬웨어가 등장하였다. 해당 랜섬웨어는 일반적인 랜섬웨어 동작과 유사하며,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폴더와 확장자를 대상으로 감염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악성동작을 완료하면 자가 삭제하여 흔적을 지우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랜섬웨어는 하기의 이미지와 같이 파일 감염사실을 알리는 랜섬노트를 생성한다. Solaso 랜섬웨어는 운영체제의 주요 파일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USERPROFILE% 아래의 특정 폴더와 확장자를 대상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한다. 암호화가 되면 파일명은 “파일명.확장자.solaso” 로 변경된다. 이번 보고서에서 알아본 Solaso 랜섬웨어는 사용중인 대부분의 드라이브에 사용자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