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346

2023년 10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진단 비율 2023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enamer”가 7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Agent”가 17%로 그 뒤를 따랐다. 악성코드 유형별 진단 비율 전월 비교 10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9월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10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9월에 비해 첫째 주는 진단 수가 감소했지만 둘째 주는 증가했다가 셋째 주부터 다시 감소하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23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등장..

동향 리포트 2023.11.10

2023년 09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진단 비율 2023년 9월(9월 1일 ~ 9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enamer”가 7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Agent”와 “Glupteba”가 각각 6%와 3%로 그 뒤를 따랐다. 악성코드 유형별 진단 비율 전월 비교 9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8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Backdoor, Suspicious 및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9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8월에 비해 셋째 주를 기점으로 증가에서 감소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23..

동향 리포트 2023.10.11

은행과 물류 산업을 노리는 Chaes 악성코드 변종

최근 은행과 물류 산업을 표적으로 하는 "Chaes" 악성코드 변종이 발견됐다. 사용자가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것처럼 위장한 악성 MSI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악성코드가 ‘%Appdata%\’ 폴더 아래에 파일을 설치한다. 이후 악성코드는 ChaesCore라고 불리는 핵심 모듈의 압축을 풀고 공격자가 운영하는 C&C 서버와 통신이 가능해지면 외부 모듈을 사용자의 시스템에 다운로드하고 로드한다. 이때, 독립적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한 7가지 모듈이 설치되는데 각각의 모듈들은 다양한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 중 Init 모듈은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Stealer 모듈은 Chromium 기반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훔치는 역할을 담당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시스템에서 C&C 서버로 파일..

2023년 08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진단 비율 2023년 8월(8월 1일 ~ 8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enamer”가 8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악성코드 유형별 진단 수 전월 비교 8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7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Backdoor, Suspicious 및 Worm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8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7월에 비해 감소한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23년 8월(8월 1일 ~ 8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작동..

동향 리포트 2023.09.07

은행 계정을 탈취하는 MMRat 발견

최근 가짜 앱 스토어를 사용해 은행 계정을 탈취하는 “MMRat”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사용자가 공식 앱 스토어로 위장한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앱을 실행하면 “MMRat”이 설치된다. 그 후 “MMRat”은 Android 접근성 서비스 권한을 요청하고 개인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수집해 공격자가 운영하는 원격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해당 악성코드는 장치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를 확인한 후 재부팅을 시도하고, 장치에 설치된 은행 앱의 계정 정보를 추가로 탈취한다. 최종적으로 “MMRat”은 악의적인 작업을 수행한 후 앱 설치 및 사용 흔적을 제거하고 자가 삭제된다. 외신은 Android 사용자에게 Google Play에서만 앱을 다운로드하고, 앱 설치 단계에서 액세스 권한을 요청할 경우에는 ..

OfficeNote로 위장한 XLoader 악성코드

MacOS를 공격하는 “XLoader” 악성코드가 생산성 앱인 OfficeNote로 위장해 유포되는 정황이 발견됐다. 보안 업체 SentinelOne은 “XLoader”를 인포스틸러이자 봇넷이라고 소개하며 2021년에 Java로 작성된 MacOS용 샘플을 발견했다고 언급했다. 발견 당시 MacOS가 2009년에 출시된 Mac OS X Snow Leopard 버전 이후로 자바 실행 환경(JRE)을 기본 제공하지 않아 Java를 별도 설치한 업체를 대상으로 공격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새로 발견한 샘플은 C 및 Object-C 언어로 작성돼 기존의 종속성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또한, OfficeNote.dmg라는 파일명으로 유포되며 Apple 개발자의 서명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SentinelO..

구글 광고로 유포되는 Statc Stealer

공격자가 정상적인 웹사이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며 사용자를 속이고, 악성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일은 늘 있었다. 최근에는 한발 더 나아가 구글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는 광고에 정상 웹사이트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게시하는 등, 대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Statc Stealer 도 이러한 방식으로 구글 광고를 통해 사용자를 끌어들인 후 악성 파일의 다운로드, 실행을 유도하고 있다. 피싱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받은 Statc 드랍퍼는 유효하지 않은 Dropbox 社 인증서로 Signing 된 채, Avanquest 社에서 개발한 Expert PDF 라는 이름의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드랍퍼가 실행되면 %LOCALAPPDATA%\Temp 경로에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기..

2023년 07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진단 비율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Agent”와 “KMSAuto”가 각각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악성코드 유형별 진단 수 전월 비교 7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6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Backdoor, Suspicious 및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7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첫째 주는 6월에 비해 진단 수가 감소했지만, 둘째 주를 기점으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23년 7월(7월 1일 ~ 7월 3..

동향 리포트 2023.08.09

2023년 06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6월(6월 1일 ~ 6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216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6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5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Worm, Backdoor 및 Suspicious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6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셋째 주를 기점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

동향 리포트 2023.07.07

2023년 05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Top10 2023년 5월(5월 1일 ~ 5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표 1]은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를 탐지 건수 기준으로 정리한 악성코드 Top10이다. 가장 많이 탐지된 악성코드는 Trojan(트로이 목마) 유형이며 총 159건이 탐지되었다. 악성코드 진단 수 전월 비교 5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4월과 비교하였을 때 Banker와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고, Trojan, Backdoor 및 Ransom의 진단 수가 감소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5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셋째 주를 기점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

동향 리포트 20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