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싱 49

마카오의 고급 호텔을 표적으로 하는 피싱 캠페인

최근, 사이버 보안 업체 Trellix가 마카오의 고급 호텔을 표적으로 하는 피싱 캠페인을 발표했다. 해당 보안 업체는 공격자들이 마카오 정부 관광청을 사칭하고 17개의 호텔에 피싱 메일을 발송했다고 알렸다. 또한, 해당 피싱 메일은 악성 매크로가 포함된 Excel 파일을 첨부하고 있으며, 매크로를 실행하면 C2 서버와의 통신을 활성화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Trellix는 동일한 C2 IP 주소, 대상 부문 및 국가의 적합성 및 C2 패널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국의 DarkHotel APT 그룹을 캠페인의 배후로 예상하고 있다. 사진 출처 : Trellix 출처 [1] Trellix (2022.03.17) - Suspected DarkHotel APT activity update https://www...

미국 국세청을 사칭한 피싱 캠페인

최근, 미국의 보안 업체 Cofense가 미국 국세청을 사칭한 피싱 캠페인을 발표했다. 해당 업체에 따르면 공격자들이 세금 신고 기간을 악용해 미국 국세청을 사칭한 피싱 메일을 전송했다고 알려졌다. 또한, 피싱 메일에는 Office 매크로가 포함된 첨부파일이 있으며 실행할 경우 피해자의 컴퓨터에 "Emotet"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한다고 알렸다. 외신은 미국 국세청이 요청받지 않은 메일은 보내지 않으므로 미국 국세청을 사칭하는 이메일은 스팸으로 처리하고 삭제할 것을 권고했다. 사진출처 : Bleepingcomputer 출처 [1] Cofense (2022.03.16) – Emotet Spoofs IRS in Tax Season-Themed Phishing Campaign https://cofense.co..

미국 은행 Citibank를 대상으로 하는 피싱 캠페인

최근 미국의 은행 Citibank를 대상으로 하는 피싱 캠페인이 발견됐다. 외신에 따르면 공격자들이 Citibank를 사칭한 이메일을 전송해 피싱 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고 알려졌다. 피싱 사이트에 로그인 할 경우 PIN, 주민등록증 사본과 같은 정보를 요구하며 입력한 모든 정보는 공격자에게 전송된다고 밝혀졌다. 보안 전문가는 메일 발신자 주소를 확인하고 이메일 본문에 포함된 버튼을 클릭하지 않을 것을 권고했다. 사진 출처 : BitDefender 출처 [1] BitDefender (2022.02.24) – Cybercrooks Phish for Login Credentials and Data of Citibank Customers in Ongoing Spam Campaigns https://www.bit..

인도의 EV(Electric Vehicle) 업체를 사칭한 피싱 캠페인

최근 싱가포르의 보안 업체 CloudSEK이 인도의 EV(Electric Vehicle) 관련 업체들을 사칭한 피싱 캠페인을 발표했다. 해당 업체의 보고서에 따르면 공격자가 Google Ads와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같은 인터넷 마케팅 방법을 악용해 피싱 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 피싱 사이트는 연락처와 메일 등의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하는 창을 띄우며 입력한 모든 정보를 공격자에게 전송한다고 알려졌다. CloudSEK은 인도의 EV 사업 공식 사이트인 e-AMRIT를 통해 합법적인 사이트만 접속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사진출처 : CloudSEK 출처 [1] CloudSEK (2022.03.01) – Unearthing the Million Dollar Scams Targ..

피싱 사이트를 통해 신용카드 정보 훔친 해킹 그룹 체포

최근 우크라이나 사이버 경찰이 피싱 사이트를 통해 이용자들의 신용카드 정보를 훔친 피싱 그룹 일원 5명을 체포했다. 수사 기관은 공격자들이 자체 인프라에서 호스팅 되는 수십 개의 피싱 사이트를 만들고, 해당 사이트를 검색 엔진 상단에 노출시키기 위해 검색엔진 최적화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알렸다. 또한 수사 기관은 카드의 CVV, PIN 및 만료 날짜 등의 세부 정보를 공개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 출처 : 우크라이나 사이버 경찰청 출처 [1] 우크라이나 사이버 경찰청 (2022.02.22) - Кіберполіція викрила групу осіб у привласненні грошей 70 тисяч громадян за допомогою фішингу https://cyberpo..

영국 은행 Monzo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피싱 공격

최근 영국의 온라인 은행 Monzo를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피싱 캠페인이 발견됐다. 외신에 따르면 공격자들이 Monzo 은행을 사칭한 SMS를 전송해 피싱 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고 알려졌다. 피싱 사이트는 전화번호와 메일 계정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띄워 Monzo 계정을 탈취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한다고 밝혀졌다. Monzo는 자신들을 사칭한 것으로 의심되는 SMS의 URL 접속을 주의하고 발신자 이름에 오타나 특수문자가 포함됐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사진 출처 : Twitter 출처 [1] Twitter (2022.02.16) – Monzo를 사칭한 피싱 공격 관련 트위터 게시글 https://twitter.com/monzo/status/1493882826252603392?cxt=HHwW..

NFT 플랫폼 OpenSea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피싱 공격

최근 NFT 플랫폼 OpenSea 사용자들이 피싱 공격으로 인해 보유하고 있던 NFT 물품을 도난당했다. 이에 대해 보안 업체 Check Point는 공격자가 해당 사이트의 업데이트와 관련한 이슈를 담은 피싱 메일을 보낸 후, NFT 소유권을 이전하는 서명을 하도록 유도했다고 알렸다. 또한 해당 보안 업체는 거래에 서명하는 것은 항상 주의가 필요하며, 이메일에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지 않을 것을 권고했다. 사진 출처 : Check Point 출처 [1] Check Point (2022.02.20) - New OpenSea attack led to theft of millions of dollars in NFTs https://blog.checkpoint.com/2022/02/20/new-opensea-at..

교통민원 문자로 위장한 피싱 문자 주의

최근 교통 민원 문자로 위장한 피싱 문자가 소비자에게 전송되고 있다. 문자는 "교통민원24"에서 보낸 과속으로 인한 벌점 보고서라는 내용으로 위장되며 해당 내용과 함께 링크가 첨부되어 전송된다. 문자를 수신한 사용자가 해당 링크로 접속할 경우 "경찰청 교통민원24"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로 연결되며 휴대전화 번호, 이름 및 생년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해당 내용을 입력 시 개인정보가 탈취될 수 있다. 개인 정보 입력 이후, 추가 파일 다운로드 페이지가 나오며 해당 앱을 다운로드하면 사용자의 휴대폰이 해킹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피싱 문자메시지 수신 또는 첨부 링크에 접속하여 추가 파일을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경찰청(국번없이 112)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불법스팸..

해외 결제로 위장한 피싱 문자 주의

최근 해외 결제로 위장한 피싱 문자가 소비자에게 전송되고 있다. 문자에는 해외 결제 문자나 결제 시 사용되는 인증 번호 문자로 위장하여 전송되며 문자를 수신한 사용자가 결제 사실이 없어 해당 번호로 전화할 경우 개인정보 등이 탈취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피싱 문자메시지 수신 또는 전화번호로 이미 연락한 경우에는 경찰청(국번없이 112)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불법스팸대응센터(국번없이 118)에 신고 및 상담할 것을 권고한다.

오미크론 변종 정보를 위장한 미국 대학 계정정보 탈취 피싱 메일 유포

코로나19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최근, 오미크론 변종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뉴스를 악용하여 일부 대학을 표적으로 하는 피싱 메일이 다량 발견되었다. Proofpoint에 따르면, 피싱 메일은 방학 시즌을 맞이한 학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Information Regarding COVID-19 Omicron Variant"과 같은 제목으로 유포되었다. 메일에는 대학 계정 자격증명을 탈취하기 위해 공식 로그인 페이지를 위장한 URL이나 htm파일이 첨부 되어있다. 사진 출처: Proofpoint 출처 [1] Proofpoint (2021.12.08) - University Targeted Credential Phishing Campaigns Use COVID-19, Omicron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