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동향 6

2024년 10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4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4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6%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4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최소 3년 동안 리눅스 서버를 공격한 "perfctl"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또한, "Dark Angels" 랜섬웨어 변종과 "TrickMo"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의 분석 정보가 공개됐다. 이 외에도 "GHOSTPULSE" 로더의 변종이 발견됐으며, "Quad7" 봇넷에 대한 경고 소식이 전해졌다. perfctl ..

2024년 10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31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2024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ansomHub” 랜섬웨어가 76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Play” 랜섬웨어가 48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4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5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캐나다와 인도가 각각 8%와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4년 10월(10월 1일 ~ 10월 31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비교하였을 때 제조/공급 ..

2024년 09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악성코드 유형별 비율2024년 9월(9월 1일 ~ 9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외에서 수집된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유형별로 비교하였을 때 “Trojan”이 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Virus”가 12%로 그 뒤를 따랐다.   2. 악성코드 동향2024년 9월(9월 1일 ~ 9월 30일) 한 달간 등장한 악성코드를 조사한 결과, 검색 결과를 스푸핑해 "WailingCrab" 악성코드를 배포한 캠페인이 발견됐다. 또한, 다양한 시스템 유틸리티의 이름을 사칭한 "KTLVdoor" 백도어와 유명인 스캔들 관련 파일로 위장한 "PDiddySploit" 악성코드가 알려졌다. 이 외에도 리눅스 시스템을 공격하는 "Hadooken" 악성코드와 안드로이드 시스템..

2024년 09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31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2024년 9월(9월 1일 ~ 9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ansomHub” 랜섬웨어가 68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Play” 랜섬웨어와 “LockBit” 랜섬웨어가 각각 37건과 20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4년 9월(9월 1일 ~ 9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5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캐나다와 영국이 각각 7%와 6%로 그 뒤를 따랐다.  2024년 9월(9월 1일 ~ 9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산업별로..

2023년 09월 악성코드 동향 보고서

1. 악성코드 통계 악성코드 진단 비율 2023년 9월(9월 1일 ~ 9월 30일) 한 달간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피해를 준 악성코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Renamer”가 7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Agent”와 “Glupteba”가 각각 6%와 3%로 그 뒤를 따랐다. 악성코드 유형별 진단 비율 전월 비교 9월에는 악성코드 유형별로 8월과 비교하였을 때 Trojan, Ransom, Backdoor, Suspicious 및 Worm의 진단 수가 증가했다. 주 단위 악성코드 진단 현황 9월 한달 동안 악성코드 진단 현황을 주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8월에 비해 셋째 주를 기점으로 증가에서 감소로 바뀌는 추이를 보였다. 2. 악성코드 동향 2023..

2023년 09월 랜섬웨어 동향 보고서

1. 랜섬웨어 통계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통계 랜섬웨어 조직이 탈취한 것으로 주장하는 데이터가 게시된, 데이터 유출 사이트 41곳의 정보를 취합한 결과이다. 2023년 9월(9월 1일 ~ 9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현황을 랜섬웨어 진단명 별로 비교하였을 때 “LockBit” 랜섬웨어가 85건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 “BlackCat” 랜섬웨어와 “Ransomedvc” 랜섬웨어가 각각 55건과 41건의 유출 사례를 기록했다. 2023년 9월(9월 1일 ~ 9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 국가별로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영국과 불가리아, 프랑스가 5%로 그 뒤를 따랐다. 2023년 9월(9월 1일 ~ 9월 30일)에 발생한 데이터 유출 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