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정보/악성코드 분석 정보 384

[주의]국내 웹 사이트 관리자 계정을 노린 악성파일 등장

1. 유명 기업들 관리자 계정 탈취 목적의 악성파일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주요 사이트의 관리자 계정을 수집하는 악성파일 숙주가 국내 특정 웹 사이트 2곳에서 유포 중인 것을 자체적으로 발견했다. 이 글을 작성하는 2013년 07월 26일 오후 1시경 현재 해당 웹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어, 유관기관 등에 신속하게 악성파일 유포지 정보를 공유하고 차단협조를 요청한 상태이다. 해당 악성파일들은 언론사, 광고사, 게임사, 포털사, 교통, 통신, 커뮤니티, 보안장비 등의 웹 사이트 관리자 페이지 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기존 3.20 사이버 테러와 6.25 사이버전의 공격코드 형태와는 다른 종류이다. 이것을 미루어 보아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기능의 사이버 범죄 조직들이 유명 ..

[주의]공공의 적 애드웨어 전자금융사기 파밍용 악성파일 대방출

1. 불청객 애드웨어와 KRBanker, 내 안에 너 있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최근 금융사 보안모듈의 메모리를 변조하는 지능화된 공격방식의 파밍용 악성파일이 변칙적인 광고성 악성 프로그램(애드웨어)을 통해서 은밀하게 전파되는 정황을 포착하였고, 그 실체를 처음으로 공개하고자 한다. 그동안 전자금융사기를 위한 악성파일들은 불특정 다수의 웹 사이트에 각종 보안 취약점 코드를 삽입하고 보안상태가 허술한 이용자들에게 무작위로 감염시키는 이른바 Drive By Download 기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웹 관제 감시센서 등을 통해서 조기에 탐지하여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과 같이 포털사이트의 블로그나 인터넷 카페 등에 마치 정상적인 프로그램처럼 둔갑한 애드웨어 파일의 내부에 별도 악성파일을..

[주의]피라미드식 악성메시지 음란사진과 함께 페이스북으로 전파 중

1. 페이스북 이용자를 매개체로 한 피라미드식 보안위협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로 잘 알려져 있는 프랑스 여배우 엠마 왓슨(Emma Watson)과 미국의 여배우인 셀레나 고메즈(Selena Gomez)의 사생활 노출비디오 동영상처럼 사칭한 악성 메시지가 페이스북을 통해서 산발적으로 전파 중인 것을 발견했다. 이 메시지는 페이스북(Facebook) 사용자들을 현혹시켜 특정 사이트의 링크주소의 클릭을 유도하게 된다. URL 주소를 클릭하는 이용자가 증가할 수록 악성 메시지 전파가 비례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피라미드식 악성메시지가 동시다발적 형태로 확산될 수 있다. 일부 악성 메시지는 코드내부적으로 광고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구글 광고수익(Adsense) 등을 통한 금전적 이득 목적의 악의..

[주의]아파치 Struts2 취약점(CVE-2013-2251) 이용 공격도구 증가 중

1. Apache Struts2 원격코드 실행취약점 업데이트 권고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중국내 언더그라운드 사이트에서 아파치 Struts2 취약점을 이용한 Exploit 코드와 공격도구가 다수 배포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파치 Struts2 프로그램은 자바 웹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프레임 워크이다. 따라서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아파치 Struts2 버전을 이용하고 있는 웹서버 관리자는 신속히 2.3.15.1 이상의 상위버전으로 신속히 업데이트를 하여야 한다. 보안이 취약한 버전을 사용할 경우 해킹에 의해서 홈페이지 변조 및 데이터 베이스 정보 유출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서버 관리자들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CVE-2013-2251 취약점 정보..

[주의]소켓통신(WinSock)을 가로채기하는 전자금융사기 수법 추가 등장

1. 호스트파일(hosts) 변조기법이 아닌 지능화된 금융보안 위협 가속화잉카인터넷 대응팀은 2013년 07월 14일에 제작되어 국내에 다수 유포된 신종 금융정보 탈취용 악성파일을 발견했다. 이 악성파일은 기존에 널리 보고된 바 있는 호스트파일(hosts) 조작 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기존과 다르게 Winsock(LSP) 조작 방식을 도입했다. LSP(Layered Service Provider)를 이용한 악성파일은 이미 2007년도에 온라인 게임계정 악성파일이 사용했던 고전적인 수법 중에 하나이다. 이처럼 호스트 파일 변조기법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감염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어, 인터넷 뱅킹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해당 악성파일에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시키고, 피해를..

[주의]통일연구 및 무역관련 기관을 겨냥한 표적공격 다수 발견

1. 한컴오피스 문서파일(HWP/CELL) 취약점을 이용한 불청객 이메일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상시 보안관제 중 2013년 07월 01일부터 10일까지 한국내 통일연구 및 무역관련 기관을 집중적으로 노린 지능화된 표적공격 정황을 다수 포착하였다. 이번 공격은 한글과컴퓨터사의 한컴오피스 문서파일 취약점을 공통적으로 사용한 특징이 있으며, HWP 파일뿐만 아니라 CELL 파일 취약점도 이용되었다. 또한, 일부는 PDF 문서파일처럼 아이콘을 조작한 실행파일(EXE) 스타일의 악성파일도 함께 발견되는 등 다양한 기법이 동원되었다. 특히, 이메일의 보낸 사람 이름에 "보좌관" 이라고 표기하거나 마치 중요한 업무내용처럼 관련 문구를 포함시킨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는 수신자로 하여금 좀더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이메일..

[주의]스미싱 정보유출 방식 웹 서버에서 이메일로 변경

1. 스미싱을 통한 개인정보 중국 이메일로 유출잉카인터넷 대응팀은 국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겨냥한 스미싱 사기범들이 개인정보 및 문자메시지(SMS) 수집 방식을 웹 서버에서 중국 무료 웹메일 서비스로 변경한 것을 다수 발견하였다. 웹 서버 기반의 정보수집 방식은 명령제어(C&C) 서버의 IP주소 차단을 통해서 조기에 무력화될 수 있다. 그렇다보니 공격자들은 노출된 서버의 IP 주소를 꾸준히 변경하거나 새로운 서버를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스미싱 공격자 측면에서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서버가 국내에서 접속이 차단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웹 서버 방식에서 웹 메일 서비스 방식으로 교체하였고, 웹 서버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것 보다 무료 웹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 상대적으로 편리하고 유용했기 ..

[긴급]6.25 사이버전, 국내 주요 사이트 해킹 공격 받는 중 Update # 130701-21

1. 2013년 07월 01일 오전 High Anonymous 연쇄 해킹공격 2013년 07월 01일 오전 국내 다수의 웹 사이트가 "Hacked by High Anonymous" 라는 이미지로 연쇄 해킹공격을 받았다. 이 해킹사고는 지난 6.25 해킹 공격의 연장선에 있으며, 사이버전의 형태를 띄고 있다. [긴급]6.25 사이버전, 국내와 북한 주요 사이트 사이버공격 ☞ http://erteam.nprotect.com/427 [긴급]카카오톡 위장 악성앱 신종공격 기법 등장 ☞ http://erteam.nprotect.com/428 현재 국내 다수의 웹 사이트가 디페이스(Defaced) 해킹공격을 받고 있고, 일부 기업의 경우 내부 그룹웨어가 해킹을 당해 아이프레임으로 악성파일이 전파되었다는 정황이 포착..

[주의]국내 인터넷 뱅킹용 악성파일 포털사이트 접근까지 변조시도

1. 금융감독원 팝업으로 사칭한 금융사기 주의국내 다수의 웹 사이트가 변조되어 각종 보안취약점 공격기법과 결합한 악성파일 유포 수법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른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BD:Drive By Download)라고 일컬어진다. Exploit Code 등의 악성파일이 숨겨진 웹 사이트에 보안취약점이 존재하는 상태로 접근시 이용자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악성파일에 자동노출되고 감염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지난 2005년경부터 지금까지 국내 주요 웹 사이트를 대상으로 무차별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2012년까지는 국내 온라인 게임계정 탈취용 악성파일이 대다수였으나, 최근에는 국내 인터넷 뱅킹용 악성파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악성파일이 다단계 과정을 통해서 실시간 ..

[긴급대응]언론사 방송국, 금융사이트 부팅 불가 사고 발생 [#Update 2013. 03. 27. 01]

■ 긴급 대응 중 2013년 03월 20일 14시 경부터 금융권, 방송사 등 컴퓨터가 동시다발적으로 부팅되지 않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잉카인터넷 대응팀은 의심파일을 다수 수집하여 다양한 분석업무와 전사긴급 대응체제를 가동 중에 있으며, 이글은 2013년 03월 20일부터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분석보고서 Ver 3.0] 수집된 파일들 중 파일명이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 ApcRunCmd.exe - AgentBase.exe - OthDown.exe - mb_join.gif (exe) - container.exe - orpsntls.exe - v3servc.exe - shellservice.exe - themeservics.exe - logoninit.exe - msnlsl.exe - Up..